반응형 주식31 [파이썬을 이용한 주식 크롤링] 4.증권플러스 재무제표 가져오기 (2) [파이썬을 이용한 주식 크롤링] 4. 증권플러스 재무제표 가져오기 (2) 지난 시간까지 만든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jsonimport urllib.request as req #url 패키지import pandas as pd myurl='https://stockplus.com/api/companies/KOREA-A119610/financial_statements.json'data= req.urlopen(myurl).read() # decoding to python object dataj = json.loads(data.decode('utf-8')) tab=pd.DataFrame(dataj['yearly']) tab에 담겨진 정보를 확인해봅시다. 열이름을 출력합니다. 중요한 변수들만 설명하면.. 2020. 7. 21. ROE와 ROA 이해하기 ROE와 ROA 이해하기 ROE는 자기자본이익률입니다. Return On Equity 의 약어입니다.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ROE = 당기순이익/자본총액 자본이 1억이고, 당기순이익이 2000만원이면 ROE는 20% 입니다. 자본에 대해 이익이 몇퍼센트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에는 주가관련 변수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입니다. 빌린 돈을 제외하고 실제 갖고 있는 돈을 의미합니다. 자본=자산-부채 ROA는 총자산이익률입니다. Return On Assets 의 약어입니다. ROE에서 자본총액을 자산총액으로 바꾼 것입니다. 자산은 빌린 돈과 가진돈을 모두 포함합니다. ROA = 당기순이익/자산총액 2020. 7. 21. PBR과 BPS 이해하기 PBR과 BPS 이해하기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Price to Book Ratio 입니다. 회사의 가격을 순자산으로 나눈 것입니다. 회사가격은 시가총액입니다. PBR=시가총액/순자산 순자산은 자본에서 부채를 뺀 값입니다. 회사 문닫을때 실제 남아있는 돈입니다. 우변의 분자와 분모를 주식 수로 나눠줍시다. PBR=(시가총액/주식 수)/(순자산/주식 수) 우변의 분자는 시가총액을 주식 수로 나눈 것이므로 '주가'가 됩니다. 우변의 분모는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것이므로 '주당 순자산'이 됩니다. 이때 주당 순 자산을 BPS(Book-value Per Share)라고 부릅니다. 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아래관계가 유도됩니다. 따라서 아래 관계가 유도됩니다. PBR=주가/주당 순 자산 2020. 7. 21. 직장인의 주식투자일기 #10. 전체기간동안 영업이익이 상승한 코스피 회사 추리기 직장인의 주식투자일기 #9. 전체기간동안 매출이 상승한 코스피 회사 추리기 1) 5년(2015~2019)동안 주가가 상승한 코스피 회사2) 전체 기간동안 주가가 상승한 코스피 회사3) 순이익이 꾸준히 상승한 코스피 회사4) 매출이 꾸준히 상승한 코스피 회사5) 영업이익이 꾸준히 상승한 코스피 회사 전체 기간동안 영업이익이 꾸준히 상승한 회사를 추려보았다. 방법은 같다. 파이썬 크롤링으로 모든 회사의 연도별 영업이익 그래프를 그리고, 우상향인 회사만 추렸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폴더이름을 추출한거라 png가 붙어있다. 지우기 귀찮아서 그냥 둠. 000020_동화약품.png000060_메리츠화재.png000120_CJ대한통운.png000210_대림산업.png000220_유유제약.png000300_대유플러스.. 2020. 7. 20.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반응형